마케팅 공부

앱스토어 최적화(ASO)를 공부해보자 (초보주의)

jemme 2024. 8. 20. 22:44
반응형

올해 개인적으로 리뷰할 수 있는 (공부&기록할) 공간이 필요해졌다.

저연차 프리랜서라 요청받는 대부분의 잡다한 일들을 거부(?)할 권리가 없다.

공부해야겠다고 다짐한 항목은 블로그 카테고리와 같이 마케팅/AI 적용 사례/프로그래밍(^;^)

따라서 이 블로그에서 공부 기록을 남기려고 한다. (다짐... 과연?)

 

내 수준(Lv.1)= 초보 마케팅 학습자(의욕 만땅, 흥미 위주 학습 성향, 편향적 지구력 강자)

암 것도 몰라서 이 항목이 단기간 학습이 쉬운지 어려운지 분간 못 함.

그래서 핵심 용어만 메모/추출해서 얕고 넓게 배워가는 스탠스를 취할 것 같다.

가장 먼저 ASO(􀍫). 기획_디자인_개발_QA_앱 배포(개발자 push) 과정을 거치며 이 부분은 내가 더 알았으면 팀에 도움이 되었을 텐데 했던 부분이었음.

 

'ASO'의 정확한 의미부터 적용 사례를 작성하면서 쪼렙인 '나'를 학습시켜 보자.(􀐳)


 

1. ASO는 왜 생겨났을까?

2008년에 애플의 앱스토어가 등장하면서 수천 개의 앱이 생김. 몇 년 뒤 스마트폰의 대중화*로 앱 시장은 정-말 가파르게 성장할 수 있었음. 앱스토어에 앱이 많아지니, 개발자(이하 기업은)들은 자신의 앱이 눈에 띄도록 만들기 위해 고민하게 되고.. 그 결과 앱스토어에서 검색 결과 상위에 뜨기 위해ASO라는 개념이 생기게 되었다고 함.

*􀅴 구글 검색 기준 2010년경


2. ASO가 필요한 이유는?

􀄵 앱스토어에서 검색할 때 내 앱이 상위에 노출되도록 하는 것.

􀄵 더 많은 사람이 앱을 다운로드하게 만드는 것.

􀄵 다운로드 수가 많아지면 매출(수익)도 늘어남.

􀄵 한 번 다운로드한 사용자가 앱을 계속 사용하도록 유도해야 할 때, ASO가 이 부분에 기여함.

이건...'유저 리텐션(User Retention) 높이기'를 검색 후 관련 아티클 참고하시면 될 듯.

 

이전의 나는 ASO 영역을 일종의 마케팅, 비즈니스 전략 그래서 내 영역과의 교집합이 없거나 작을 거라고 크나큰 착각을 했음.그러나 올해 프리랜서 일을 하고, 1인 디자이너로 야생에 던져지면서 알고 있으면 쏠쏠하고, 내 영역을 효율적으로 넓히는 게 뭔지 고민하다가 '마케팅'을 공부해야겠다고 결심함. 돈 벌고 싶은 사람이면(수익=마케팅, 경영) 당연히 배웠어야 할 학문인데 그동안 너무 신경 안 쓴 느낌.


3. ASO의 주요 요소

검색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겠지만, ASO의 핵심 요소는 키워드 최적화, 앱 아이콘과 스크린샷, 리뷰와 평점이다.

 

- 키워드 최적화(관련 직무로 나오는 직업 'SEO 전문가')

앱 제목이나 설명에 사람들이 검색할 법한 키워드를 자연스럽게 포함하는 것.

예를 들어, 사진 편집 앱이라면 "photo editor", "image filters" 같은 키워드를 추가할 수 있음.

 

- 앱 아이콘과 스크린샷

앱 출시를 목적으로 관련 비주얼 콘텐츠 제작을 한 경험이 있음. (UI 목업 screen 참고)

화면 플로우의 '온보딩(Onboarding) 단계'는 앱 스크린샷과 같은 형태, 내용을 포함하는 경향이 있음.

 

- 리뷰와 평점

사용자들이 남긴 리뷰와 평점은 앱을 다운로드할지 결정하는 데 매우(x10000) 중요함.

평점 테러+리뷰 내용= 현질 유도/버그 다량/불편한 UX/개인정보 침해 등의 이슈가 리뷰에 게시되면 다운로드 안 하고 싶음(나만 이래?)


4. ASO는 발전 과정

- 초기 ASO: 처음에는 단순히 제목에 키워드를 넣고, 아이콘과 스크린샷을 신경 쓰는 정도로 시작. 하지만 앱이 늘어나면서 더욱 정교한 전략이 필요로 하게 됨. (매체로 따지면 신문 광고 수준)

 

- 데이터 기반 ASO: 현재의 ASO는 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어떤 키워드가 효과적인지,􂇏사용자가 어떤 요소를 중요하게 여기는지 분석해 최적화하며 점점 정교해지고 있음. +다양한 ASO 도구 사용(매체로 따지면 킬러 타임의 TV 속 연예인 광고)

 

- 글로벌 ASO: 앱을 여러 국가에서 배포할 때, 각 나라에 맞춘 현지화(로컬라이제이션)를 가장 우선 염두에 두게 됨. 서비스 속에 그 나라의 언어와 문화가 결합. 세계적으로 인지도 높은 서비스들은 현지화 과정을 통해 더 정교하고 정확한 마케팅을 할 수 있게 됨􀦧


5. ASO는 적용 사례

공부하면서 이해하기 쉽게 내가 자주 쓰는 앱을 사례로 들어감. 각각 다른 분야의 앱들이 ASO를 어떻게 활용했는지 살펴보면서,

일상에서 우리가 기업의 마케팅 용어에 얼마나 친숙하게 느끼는지 알 수 있었음

 

􀀺 모바일 게임: Dream Games의 "Royal Match"

로얄 매치 (Royal Match)

"Royal Match"라는 모바일 게임은 꽤나 반응이 좋은 퍼즐게임.(이 게임 전에 '캔디크러쉬' 함)

단순하면서도 중독성 높은 퍼즐 게임으로 시선을 사로잡는 화려한 3D 아이콘이 특징. '왕을 구출하라'는 게임 스토리를 가지고 있음. 아 그런데, 게임속에서 왕은 저어기 구석에 있고, 왕의 공간을 배경으로 퍼즐을 하는데 시각적으로 매력적임. 게임 통과하면 나에게 박수치고 축하해줌ㅋㅋ

 

- 키워드 최적화: 게임 이름 자체에 "로얄"과 "매치"라는 단어. 이 단어들은 퍼즐 게임을 연상시키고, 사람들이 관련 키워드를 검색할 때 이 게임이 상위에 노출될 수 있도록 해줌

 

- 앱 아이콘과 스크린샷: 왕관을 쓴 친숙한 표정의 캐릭터가 있는 아이콘은 눈에 잘 띄고, 스크린샷에는 게임 플레이 장면이 명확하게 나와 있어서 사용자들이 어떤 게임인지 쉽게 파악할 수 있음. 이런 시각적 요소들은 다운로드 결정을 유도하는 데 큰 역할을 할 수 있음.

 

- 리뷰와 평점: "로얄매치"는 많은 긍정적인 리뷰와 높은 평점 보유중. 이는 신규 유입자들에게 긍정적인 인상을 줌. 좋은 평가가 많을수록 사람들이 더 많이, 쉽게 다운로드를 결심하기 때문에..

___

 

􀀼 사진 및 비디오 앱: 스노우사의 "SODA"

SODA 소다 Natural Beauty Camera

"SODA"는 스노우사에서 만든 사진 및 비디오 편집 앱. 이 앱은 특히 셀카를 예쁘게 찍고, 다양한 도구로 편집하고 싶어하는 유저에게 인기가 높음.

 

- 키워드 최적화: 앱 설명에 "셀카", "뷰티", "필터" 같은 키워드를 자연스럽게 포함. 사용자가 이런 단어를 검색했을 때 SODA가 상위에 나타날 수 있음(예를 들어, "자연스러운 뷰티 필터" 같은 문구)

 

- 앱 아이콘과 스크린샷: SODA의 아이콘은 심플하고 깨끗한 디자인으로, 사용자가 보기에 큰 호불호 없는 느낌. 스크린샷에는 다양한 필터 효과와 편집 기능이 강조되어, 무엇을 할 수 있는지 쉽게 파악 가능.

 

- 리뷰와 평점: SODA도 사용자들로부터 많은 긍정적인 리뷰를 보유중. "이 앱만 써요" 같은 리뷰는 신규 사용자들에게 다양한 보정앱들 중에 우선적으로 선택하게 되는 계기가 될 수 있음.

___

 

􀀾 라이프스타일 앱: 버킷플레이스의 "오늘의집"

오늘의집 - 라이프스타일 슈퍼앱

"오늘의집"은 인테리어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인기있는 라이프스타일 앱이다. 본인의 주거/생활 공간을 꾸미는 데 관심 있는 사람들에게는 접속하게 되면 시간과 돈이 삭제되는 위험한 앱.(한때 오집 VVIP였음)

 

키워드 최적화: "오늘의집"은 앱 설명에 "인테리어", "집 꾸미기", "DIY" 같은 키워드를 포함하고 있고, 사용자가 이런 단어를 검색했을 때 앱이 상위에 뜰 수 있도록 함. 특히 "인테리어"는 이 앱의 핵심 키워드이니 이부분은 꼭 포함하는 것임.

 

앱 아이콘과 스크린샷: 이 앱의 아이콘은 깔끔한 집 모양으로, 라이프스타일/주거공간 관련 앱임을 바로 알 수 있음. 스크린샷에는 다양한 인테리어 스타일과 제품들이 잘 나와 있어서, 앱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제품 유형 및 컨텐츠를 알 수 있음.

 

리뷰와 평점: "오늘의집"은 사용자들로부터 "인테리어 아이디어를 얻는 데 큰 도움이 됐다"는 리뷰로 많은 지지를 받고있음. 기본적으로 높은 평점도 이 앱을 다운받을 때 큰 영향을 줌.


6. ASO의 미래는?

앞으로 ASO는 AI와 머신러닝 기술이 도입으로 더 정교하고 다양한 전략이 요구될 것이다, 기술적으로 도입할 수 있는 시스템: 1_사용자 데이터를 분석해 최적의 키워드를 추천 2_음성 검색에 최적화된 ASO 추출.  이미 특정 국가/지역에서의 앱 배포 시 준수해야 할 요구사항이 충분히 많다. 앱 개발사에서도 배포 전 규정을 담당하는 포지션이 따로 있으니 마케팅 전략에 대한 중요도는 계속해서 높아질 듯?!

 

7. 끝으로

ASO는 앱스토어에서 성공하기 위해 꼭 필요한 마케팅 전략. 저 같은 마케팅 초보자도 기본적으로 공부해 두면 좋은 내용이라고 생각했어요. 마케팅 전문가처럼 키워드 추출, 분석은 못할지라도 키워드 최적화, 시각적 요소 탐색부터 시작하면 점차 활용할 범위가 늘어날 거라고 생각합니다. ASO 용어는 확실히 각인되어서 관련 최적화에 도움이 되는 툴도 사용해 보고 싶네요.


참고 아티클

https://www.branch.io/ko/resources/blog/%EC%95%B1%EC%8A%A4%ED%86%A0%EC%96%B4-%EC%B5%9C%EC%A0%81%ED%99%94aso-%EB%AA%A8%EB%B2%94-%EC%82%AC%EB%A1%80/

반응형